사경 뜻, 증상, 원인, 멍울, 스트레칭, 수술에 대해 알아보자
사경(斜頸, Torticollis)의 정의
사경은 목 근육의 불균형으로 목과 머리가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는 상태를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흉쇄유돌근(sternocleidomastoid muscle)의 과긴장 혹은 경직이 원인이 되며, 선천형과 후천형으로 구분됩니다.
사경의 분류
사경은 발생 시기와 원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
- 선천성 사경: 출생 시부터 나타나며, 대개 태아 시기에 자세 불균형이나 근육 발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
- 후천성 사경: 성장 과정이나 성인기 이후 외상, 감염, 신경계 이상, 종양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.
또한 근육의 구조적 변화가 있는 구조적(organic) 사경과, 근육 변화는 없으나 기능적 장애로 나타나는 기능적(functional) 사경으로도 분류할 수 있습니다.
역학 및 발생 빈도
선천성 사경은 신생아 2503,0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며, 남아에서 다소 높은 빈도를 보입니다. 후천성 사경은 모든 연령층에서 드물게 발생하지만, 성인에서는 4060대에 편두통이나 외상 후유증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주요 증상
- 목 기울기 및 회전: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고, 턱이 반대편으로 회전합니다.
- 목 통증 및 경직: 해당 측 목 근육의 통증과 단단한 덩어리, 멍울이 만져질 수 있습니다.
- 두통 및 어지럼증: 목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혈류 장애나 신경 자극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얼굴 비대칭: 장기간 방치 시 얼굴 골격에도 경미한 비대칭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원인
- 선천적 요인
- 태아 위치 이상: 자궁 내에서 지속적으로 한쪽으로 눌린 경우
- 근육 발달 이상: 흉쇄유돌근에 선천적 섬유화나 진피 낭종이 있는 경우
- 후천적 요인
- 외상: 교통사고나 낙상으로 인한 경부 근육 손상
- 감염: 편도염·중이염 등 후두부 염증이 근육으로 전이
- 신경계 이상: 경부 척수신경 부위 종양·신경병증
- 약물유발: 일부 항정신병 약물이 근긴장 이상을 유발
- 기타 요인
- 스트레스 및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잘못된 자세
- 교정되지 않은 턱관절 장애(TMJ)
멍울(근육 결절)의 발생과 의미
사경 환자에서 흉쇄유돌근 부위에 단단한 멍울이 흔히 관찰됩니다. 이는 국소 섬유화(fibrosis)나 근육 내 결합조직 증가, 반복적 미세 손상 후 치유 과정에서 형성된 결절이지방(degeneration nodule)이 원인입니다. 멍울은 만졌을 때 압통이나 국소 통증을 유발하며, 촉진 크기와 경도에 따라 병기의 심각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.
진단 방법
- 문진·이학적 검사: 목 기울기 정도, 회전 각도, 통증 유무, 멍울 촉진
- 초음파(US): 흉쇄유돌근 내부 구조·섬유화 정도 확인
- X선 촬영: 경추 변형 여부, 골격 이상 동반 검사
- MRI: 신경계 침범, 종양 가능성 배제
- 혈액검사: 염증 수치 및 전신 질환 동반 여부 평가
스트레칭 및 물리치료
효과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다음과 같은 스트레칭을 권장합니다.
- 흉쇄유돌근 늘이기
-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반대편으로 기울이고, 손으로 고개 위를 살짝 눌러준다.
- 20~30초 유지 후 천천히 원위치.
- 하루 3~5회, 1회당 3세트 시행.
- 측두근 및 승모근 이완 운동
- 목을 고정한 채 어깨를 아래로 내리고 원을 그리듯이 돌린다.
- 10회 후 반대 방향으로 반복.
- 근력 강화 운동
- 저항 밴드를 이용해 목의 측면근, 후면근을 강화.
- 물리치료
- 열 치료(핫팩), 초음파 치료, 전기 자극치료로 근육 이완 및 혈류 개선.
- 전문 의료진 지도로 6~12주간 지속 시행 시 호전율 70% 이상 보고.
약물치료
- 근이완제: 바클로펜, 티자니딘 등으로 근경련 완화
-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(NSAIDs): 통증 및 염증 조절
- 보톡스 주사(보툴리눔 톡신): 과긴장된 흉쇄유돌근에 국소 주사해 근긴장도 감소, 약물 기대 효과는 3~4개월 지속
수술적 치료
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고, 증상이 1년 이상 지속되거나 심한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다음 술식을 고려합니다.
- 흉쇄유돌근 이완술
- 흉쇄유돌근 일부를 절개 또는 길게 절개해 구조적 긴장 해소
- 근막 절단술
- 경부 근막 층을 절개해 전반적 유연성 회복
- 신경 차단술
- 측부 경추신경 분지 차단으로 경련 억제
- 교정술 후 재활
- 수술 후 6~8주간 집중 물리치료 및 스트레칭
수술 성공률은 80~90%로 보고되며, 호전된 가동범위와 통증 완화를 경험합니다. 다만 흉쇄유돌근 기능 일부 손실, 경미한 흉부 운동 제한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 전후 충분한 설명과 재활 계획이 중요합니다.
합병증 및 예후
- 합병증: 감염, 혈종, 신경 손상으로 인한 감각 저하, 흉쇄유돌근 기능 약화
- 예후: 선천형은 조기 진단 시 물리치료만으로도 90% 이상 호전, 후천형은 원인 질환 치료 동반 시 예후 양호
심리·사회적 고려
장기간 목 기울기로 인한 외관상의 변화는 자존감 저하, 사회적 위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, 심리 상담 및 지지적 그룹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.
결론
사경은 목 근육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, 원인과 유형에 따라 보존적 치료부터 수술적 치료까지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 조기 진단과 맞춤형 재활 치료, 필요 시 약물 및 수술적 개입을 통해 대부분의 환자가 정상적인 목 기능과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.